[기획보도] 통계로 본 어업의 구조 변화
-
담당자
최종국
-
담당부서
농어업동향과
-
전화번호
042-481-2559
-
게시일
2020-12-11
-
조회
6384
- 첨부파일
-
- - [기획보도]통계로 본 어업의 구조 변화 보도자료.hwp[4.8MB]다운로드
미리보기
- - [기획보도]통계로 본 어업의 구조 변화 보도자료.pdf[8.6MB]다운로드
미리보기
[통게로 본 어업의 구조변화]
<어가 및 어가인구>
□ 지난 50년간(1970~2019년) 연평균 어가인구는 2.2%, 어가 수는 4.2% 감소
○ (어가인구) 2019년 어가인구는 114천 명으로 2970년 913천 명에 비해 87.5%(799천 명) 감소
○ (어가 수) 2019년 어가 수는 51천 어가로 1970년 149천 어가에 비해 65.9%(98천어가) 감소
<연·근해어업 어선규모>
□ 지난 20년간(2000~2019년) 연근해어업의 어선 척수는 연평균 2.7% 감소(근해 3.5%, 연안 2.7% 감소)
○ 2019년 현재 우리나라 연·근해 전체 어선(40,462척) 중 근해어업(2,677척), 연안어업(37,785척)은
2000년 대비 49.4%, 40.3% 각각 감소
<양식업 면허면적>
□ 지난 19년간(2001~2019년) 양식업 면허면적은 연평균 1.6% 증가
○ 양식업 면허면적은 지역에 따라 다르나, 특히 해조류(김,미역,다시마 등)의 면적은 연평균 1.2% 증가
<연·근해어업의 주요 어법별 어선 현황>
□ 지난 28년간(1992~2019년) 연·근해 주요 어법별 어선 척수는 연평균 근해어업 3.8%, 연안어업 0.6% 감소
○ (근해어업) 최근 근해해역에서 조업하는 어선 중 가장 많이 감소한 어법은 근해연승 896척, 근해자망 726척,
근해안강망 623척 순임
○ (연안어업) 연안해역의 주요 어법별 중 가장 크게 감소한 어법은 연안자망 27.5%(4,780척), 연안통발 32.9%(2,371척),
연안복합 4.4% (771척) 순임
<일반해면어업의 주요 어종별 어획량>
□ 지난 50년간(1970~2019년) 주요 어종별 어획량은 연평균 0.4% 증가
○ 우리나라 연근해 해역의 기후(수온)변화의 영향으로 1970년 대비 멸치 218.5%, 고등어 165.8%,
젓새우류 85.7%가 큰 폭으로 증가
<귀어가구 및 인구>
□ 지난 7년간(2013~2019년) 어촌으로 귀어한 귀어가구는 연평균 5.7%, 귀어인구 5.6% 증가
○ (귀어가구) 2013년 대비 1인 가구는 40.6%, 2인 가구 67.0%, 4인 이상 가구 38.9% 증가한 반면, 3인 가구는 28.9% 감소
○ (귀어인구) 2013년 대비 연령대별로 60대 118.6%, 50대 45.2%, 40대 7.2%, 30대 이하 21.3% 각각 증가한 반면,
70대 이상은 3.7% 감소
<다문화 어가 및 인구>
□ 지난 9년간(2011~2019년) 어촌지역의 다문화 어가는 연평균 2.3%, 다문화 어가인구는 1.4% 증가
○ (다문화 어가) 2019년 다문화 어가구는 1,216가구로 2011년 1,013가구 대비 20.0%(203 가구) 증가, 연평균 2.3% 증가
○ (다문화 어가인구) 2019년 4,765명으로 2011년 4261명 대비 504명(11.8%) 증가, 연평균 1.4% 증가
※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