어업생산량 30년간 어떻게 변화 하였을까?
-
담당자
김재동
-
담당부서
농어업통계과
-
전화번호
042-481-2595
-
게시일
2011-05-15
-
조회
16425
◇ 지난 30년간 어업생산은 잡는 어업이 감소하고 기르는 어업은 크게 증가
○ ’10년 어업생산량은 3,112천톤으로 ’80년 2,410천톤보다 702천톤(29.1%) 증가
- 자원 감소와 어장의 축소로 연근해 어업은 감소한 반면, 양식기술 발달로 천해양식은 크게 증가
○ ’10년 어업생산금액은 7조 4,257억원으로 ’80년(8,431억원)보다 6조 5,826억원(780.8%) 증가
- 어가(가격)의 상승, 환율영향에 의한 원양어업 생산금액 증가, 천해양식 대상 종이 넙치, 우럭, 돔류,
전복 등의 고가 품종으로 다양화 되면서 크게 증가
◇ 해수온도의 상승 등으로 생산어종이 변화
○ ’80년대에는 쥐치, 멸치, 갈치, 명태 등이 많이 생산되었으나 쥐치, 명태, 정어리 등은 자취를 감춰가고,
’10년에는 온수성 어종인 멸치, 오징어, 고등어 등의 어획량은 증가
◇ 소득증가 및 식문화 변화로 수산물 소비량은 증가
○ ’08년 국민 1인당 연간 수산물 소비량은 54.9㎏으로 ’80년(27.0㎏)보다 27.9㎏(103.3%)증가한 반면
수산물 자급률은 ’80년 138.0%에서 ’08년 78.5%로 감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