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22년 1분기 대구·경북지역 경제동향
- 담당자김수희
- 담당부서지역통계과
- 전화번호053-609-6668
- 게시일2022-05-18
- 조회181
- 첨부파일
-
- 2022년 1분기 대구·경북지역 경제동향.pdf[1.8MB]다운로드
미리보기
- 2022년 1분기 대구·경북지역 경제동향.hwpx[1.3MB]다운로드
- 2022년 1분기 대구·경북지역 경제동향.hwp[1.2MB]다운로드
미리보기
(2022년 1분기 대구·경북지역 경제동향)
(광공업생산)
○ 대구는 기타 기계 및 장비, 전자부품· 컴퓨터·영상·음향 및 통신장비 등에서 늘어 3.0% 증가하였고,
○ 경북은 전자부품·컴퓨터·영상·음향· 통신장비, 기타 기계 및 장비 등에서 줄어 6.4% 감소
(서비스업생산)
○ 대구는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, 도매 및 소매업 등에서 늘어 3.2% 증가 하였고,
○ 경북은 교육서비스업, 숙박 및 음식점업 등에서 늘어 3.5% 증가
(소매판매액)
○ 대구, 경북은 승용차 및 연료소매점, 대형마트에서 줄어 각각 0.6%씩 감소
(건설수주)
○ 대구는 토목은 늘었으나 건축부문이 줄어 30.7% 감소하였고,
○ 경북은 건축과 토목부문 모두 늘어 73.8% 증가
(무역수출)
○ 대구는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(의약품 제외), 섬유제품(의복 제외) 등에서 늘어 26.8% 증가하였고,
○ 경북은 1차금속, 전기장비 등에서 늘어 22.8% 증가
(무역수입)
○ 대구는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(의약품 제외), 1차금속 등에서 늘어 40.0% 증가하였고,
○ 경북은 1차금속, 코크스·연탄 및 석유 정제품 등에서 늘어 34.8% 증가
(소비자물가)
○ 대구, 경북은 교통, 음식 및 숙박 등에서 올라 각각 4.0%, 4.4% 상승
(취업자 수)
○ 대구는 사업·개인·공공서비스·기타, 도소매·음식숙박업 등에서 고용이 늘어 31.4천 명 증가하였고,
○ 경북은 도소매·음식숙박업, 광제조업 등에서 고용이 늘어 48.1천 명 증가
(실업자 수)
○ 대구, 경북은 전 연령층에서 줄어 각각 22.3천 명, 28.1천 명 감소
(국내 인구이동)
○ 대구 1분기 국내인구이동은 3,091명 순유출
- 연령대별은 20대(-1,085명)에서, 구·군별로는 달서구(-2,186명)에서 순유출이 가장 많았음
○ 경북 1분기 국내인구이동은 3,010명 순유출
- 연령대별은 20대(-3,977명)에서, 시·군별로는 구미시(-2,147명)에서 순유출이 가장 많았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