최근 15년간 서울·인천·경기지역 농가 및 농업형태의 변화.hwp[3.3MB]다운로드미리보기
[ 최근 15년간 서울·인천·경기지역 농가 및 농업형태의 변화 ]
◆ 농가수 및 농가 인구
□ 농가수 - 경기도와 인천시의 농가수는 1995년에 비해 1/5 정도 감소 - 서울의 농가수는 1995년에 비해 1.5배 증가 · 경기도 농가수 : '95년 160,581 → '10년 135,332가구(15.7% 감소) · 인천시 농가수 : '95년 18,072 → '10년 13,835가구(23.4% 감소) · 서울시 농가수 : '95년 2,743 → '10년 4,123가구(50.3% 증가)
□ 농가 인구 - 경기도와 인천시의 농가 인구는 1995년의 2/3 수준 - 서울의 농가 인구는 1995년에 비해 1/5 정도 증가 · 경기도 농가 인구 : '95년 599,800 → '10년 412,138명(31.3% 감소) · 인천시 농가 인구 : '95년 58,814 → '10년 37,750명(35.8% 감소) · 서울시 농가 인구 : '95년 11,376 → '10년 13,602명(19.6% 증가)
◆ 농가 구조
□ 농가당 가구원수는 점차 줄어 소가족화 가속 - 경기도와 인천시 농가의 주된 가구 유형은 2인 가구로 나타났으며, 5인 이상 가구는 큰 폭으로 감소 - 서울시의 4인 이하 가구는 증가한 반면, 5인 이상 가구는 감소
□ 70세 이상 경영주 농가는 1995년에 비해 큰 폭으로 늘어 농가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
◆ 농가 경영
□ 1995년에 비해 경기도는 전업농가 비중이, 인천시와 서울시는 겸업농가 비중이 증가 □ 3ha 이상 농가가 차지하는 비중은 경기도, 인천시, 서울시 모두 증가 □ 1ha 미만 농가는 인천시는 감소하고, 경기도, 서울시는 증가 □ 1995년 이후 경기도와 인천시, 서울시 모두 과수 농가가 증가 □ 인천시와 경기도는 논벼 농가가 1995년에 비해 감소하였으나 여전히 농가의 주된 영농형태임