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20년 기준 무주군 농업실태조사 결과
- 담당자박환희
- 담당부서지역통계과
- 전화번호062-370-6343
- 게시일2021-12-16
- 조회404
- 첨부파일
-
- (보도자료) 2020년 기준 무주군 농업실태조사 결과.pdf[2MB]다운로드
미리보기
- 2020년 기준 무주군 농업실태조사 결과보고서.pdf[78.3MB]다운로드
미리보기
1. 무주군 경지면적은 논 1,105㏊, 밭 2,049㏊, 과수1,053㏊, 시설 73㏊로 나타남
▣ (경지면적) 면적 총계는 4,280㏊로, 논 25.8%, 밭 47.9%, 과수 24.6%, 시설 1.7%로 나타남
2. 작물별 재배 면적은 논벼 802㏊, 사과 684㏊로 나타남
▣ (논벼) 무주군 논벼 재배현황은 재배면적 802㏊, 수확량 4,297,
판매량 3,234, 판매금액 5,878백만원으로 나타남
▣ (사과) 무주군 사과 재배현황은 재배면적 684㏊, 수확량 15,308,
판매량 15,028, 판매금액 30,040백만원으로 나타남
3. 한우 총 사육 두수는 7,478두이며, 그 중 판매 두수는 1,872두로 나타남
▣ (한우) 사육 현황은 사육 두수 7,478두, 판매 두수 1,872두, 판매금액 10,121백만원으로 나타남
4. 농축산물의 주요 출하처는 (논벼) 「정부기관」 32.5%,
(사과) 「수집상(중간상인)」 26.6%, (한우) 「시장(우시장) 등」 70.7%로 나타남
▣ (논벼) 주요 출하처는 「정부기관」 32.5%, 「농협 농업법인」 28.2%,
「소비자 직접판매」 14.1% 등의 순으로 나타남
▣ (사과) 주요 출하처는 「수집상(중간상인)」 26.6%, 「농협, 농업법인」 20.7%,
「소비자 직접판매」 12.6% 등의 순으로 나타남
▣ (한우) 주요 출하처는 「시장(우시장) 등」 70.7%, 「축산물 공판장」 12.7%,
「도축장」 5.7% 등의 순으로 나타남
5. 농업인의 전·겸업별 비중은 「전업」 55.6%, 「겸업」 44.4%이며,
농업 종사기간은 「40년 이상」이 43.6%로 나타남
▣ (전·겸업별 농업인) 비중은 「전업」 55.6%, 「겸업」 44.4%이며,
겸업 농업인 중 21.5%는「1종 겸업」, 78.5%는 「2종 겸업」으로 나타남
▣ (농업 종사 기간) 「40년 이상」이 43.6%로 가장 많고, 「10년 미만」 18.6%,
「10~20년 미만」 18.4%, 「20~30년 미만」 11.0%, 「30~40년 미만」 8.4% 순으로 나타남
6. 농자재 「관외 지역」 구입 비중은 6.2%, 부채가 있는 농업인은 21.7%,
농업 교육을 희망하는 농업인은 45.0%로 나타남
▣ (주요 농자재 구입처) 농자재 「관외 지역」 구입 비중은 6.2%이며,
관외에서 구입하는 이유는 「관외에서 구입하는게 더 저렴해서」가 33.4%로 가장 높게 나타남
▣ (농업 부채 유무) 부채를 가지고 있는 농업인은 21.7%이며,
주요 부채 사용처는「농축산물 자재 구입」이 48.3%로 가장 높게 나타남
▣ (교육 이수 희망 여부) 교육을 희망하는 농업인은 45.0%이며,
희망하는 농업 교육은 「품목별 농업기술 전문교육」이 52.4%로 가장 높게 나타남
7. 농업 정보 수집 방법은 「주변 농가 및 지인」이 51.9%로 가장 높고, 영농 후계자가
없는 농업인은 85.9%이며, 영농 활동의 어려움은 「일손 부족」이 30.3%로 가장 높게 나타남
▣ (농업 정보 수집 방법) 「주변 농가 및 지인」이 51.9%로 가장 높고,
「무주군 농업기술센터」 23.1%, 「농,축협 및 농자재 구입처」 11.9% 등의 순으로 나타남
▣ (영농 후계자 유무) 「있음」 14.1%, 「없음」 85.9%이며,
영농후계자가 없는 경우 향후 농업 유지년수는 평균 13.6년으로 나타남
▣ (영농활동의 어려움) 「일손 부족」 30.3%, 「농업 관련 비용 인상」 25.7%, 「농축산물 가격 하락」 14.8% 등의 순으로 나타남
8. 농업 지원 확대 희망 분야는 「농업 소득 지원 부문」이 30.8%,
농업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정책은 「안정적인 출하처 확보 및 홍보 강화」가 26.1%,
미래세대를 위한 농업 정책은 「영농 후계자 양성을 위한 전문교육 실시」가 18.7%로 나타남
▣ (농업 지원 확대 희망 분야) 「농업 소득 지원 부문」이 30.8%로 가장 높고,
「농업 장비 지원 부문」 20.9%, 「농축산물 판매 부문」 19.5% 등의 순으로 나타남
▣ (농업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정책) 「안정적인 출하처 확보 및 홍보 강화」가 26.1%로 가장 높고,
「농가융자 및 보조금 지원 확대」 23.8%, 「신규 소득작물 및 지역 특화작물 육성 지원」 20.5% 등의 순으로 나타남
▣ (미래세대를 위한 농업 정책) 「영농 후계자 양성을 위한 전문교육 실시」가 18.7%로 가장 높고,
「초기 정착을 위한 자금 지원」 17.0%, 「농업 정책 및 지원 내용 홍보 확대」 16.9% 등의 순으로 나타남