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 전국 56대 지역생활권별 인구이동 및 취업자 현황
-
-
- 담당자박시내
- 담당부서동향분석실
- 전화번호042-366-7314
- 게시일2016-06-14
- 조회318980
- 첨부파일
-
전국 56대 지역생활권별 인구이동 및 취업자 현황(중추도시권).ppt
[10.9MB]다운로드
전국 56대 지역생활권별 인구이동 및 취업자 현황(농어촌생활권).ppt
[6.5MB]다운로드
전국 56대 지역생활권별 인구이동 및 취업자 현황(도농연계권).ppt
[6MB]다운로드
○ 지역경제 활성화 및 상향식·분권화 지역발전정책 추진의 일환으로 지역생활권을 구상하고, 사업 발굴을 추진*
* 전국 56개 지역행복생활권 구상 및 발표(지역발전위원회, ‘14.3.)
○ (지역생활권 선정 배경) 지자체 실시 후 지역의 상향식·분권형 정책에 대한 요구 증대되었으며,
행정구역보다는 국민의 실생활과 밀접한 생활권 접근 필요, 광역통계 중심에서 지역주도형 통계로 주민 체감도 제고
○ 전국 56대(중추도시권, 도농연계권, 농어촌생활권) 지역생활권별 주요 통계지표를 도출하고,
인구이동 및 취업자 현황에 관한 시각화 자료 제작
- 가구·인구특성(2010년 인구주택총조사 10% 표본자료)
- 인구이동(거주지 이동: 2010년 인구주택총조사 10% 표본자료, 통근: 2014년 지역별고용조사)
- 고용(2014년 지역별고용조사)의 세 개 영역별로 지역생활권별 주요 특성 관련한 주제도 제작
<영역별 주요 지표>
Ⅰ. 가구인구 특성
<가구>
① 가구 수 및 평균 가구원 수
② 자가 비중
③ 아파트 비중
④ 여성가구주 가구의 비중
⑤ 한 부모 가구의 비중
⑥ 인구수 및 평균연령
⑦ 미혼율
⑧ 출생아 수
<인구>
⑨ 고령 및 초고령 인구 비중
⑩ 고령자 가구(60+) 중 빈 둥우리 가구 비중
⑪ 고령자 가구(60+) 중 자녀동거 가구 비중
⑫ 고령자 생활비 원천 중 직업소득 비중
⑬ 고령자 생활비 원천 중 자녀보조 비중
Ⅱ. 인구이동
<거주지 이동>
- 부산권, 대구권, 대전권, 빛고을권, 울산권, 춘천권, 치악산권, 청주권, 천안아산권, 포항권
<통근>
- 부산권, 대구권, 대전권, 빛고을권, 울산권, 세종공주권, 청주권, 천안아산권, 경남동부권, 경남서부권
Ⅲ. 고용
<경제활동인구> 고용률, 실업률, 재학인구의 고용률
<취업자 구성> 산업
<비경제활동 인구> 비경제활동 사유
<근로시간 및 임금> 주당평균근로시간, 임금근로자의 월평균 임금