전체보기
[건강] 코로나19 장기화에 대한 일반인 위험 인식의 주요 결과와 시사점
- 게시일2022-12-13
- 연도2022
- 저자유명순
- 조회8,385
첨부파일
- 오미크론 변이에 의한 유행 이후, 감염의 특징이 달라짐에 따라 코로나19 위험 인식에도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.
- 코로나19에 느끼는 주관적 위험의 크기는 성별·연령 같은 인구학적 조건 외에도 주·객관적 건강 상태, 코로나19에 감염된 경험에 따라 다르게 평가되고 있다.
- 최근에는 코로나19 유행이 영원히 지속될 것에 대한 두려움이 높게 나타났다.
- 국내 코로나19 백신 접종률은 높은 수준을 기록했지만, 백신 안전성 인식, 백신 접종 의향 및 태도 등의 결과를 통해 백신의 정보제공 및 소통의 효과성과 신뢰성이 강화될 필요가 있음을 엿볼 수 있다.
- 코로나19 상황에서 일상회복이 본격화되는 가운데, 저소득층의 일상 회복도는 시간이 가면서 평균과의 격차가 오히려 커지고 있다.
- 보건의료 인력 등 현장의 대응 자원 확충은 국민들의 인식 속에서 미래 감염병 위기를 대비하기 위한 공통 핵심 요소인 것으로 나타났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