전체보기
[노동_동향]노동 영역의 주요 동향
- 게시일2023-12-21
- 연도2023
- 저자권현지
- 조회829
첨부파일
- [노동_동향]노동 영역의 주요 동향.pdf (6.38MB) 다운로드 미리보기
- 05-1 노동 영역의 주요 동향(2023).xlsx (447.33KB) 다운로드 미리보기
▪사회적 거리두기가 전면 해제된 2022년에 이어, 2023년은 대내외적 정치・경제적 불안정에도 불구하고 안정적인 노동시장 성과가 계속 관찰되었다.
▪2023년 8월 전체 64.4%, 남성 73.3%, 여성 55.8%를 기록한 경제활동참가율은 2022년에 이어 팬데믹 이전인 2019년 수준 이상의 호조를 보였다. 2022년 12월과 2023년 1~2월 잠시 하락세를 보였지만, 그 이후 회복되었다.
▪경제활동참여율, 고용률 등에서 공통적으로 확인되는 것은 30대 여성의 급격한 증가세이다. 특히 증가세를 주도한 것은 미혼, 고학력 집단으로 30대 대졸 미혼 여성의 고용률은 같은 성격의 남성 고용률을 상회한다. 한편, 30~40대 남성의 경제활동 및 고용률 둔화 역시 눈에 띄는 변화다.
▪팬데믹기 증가한 비정규직 노동자의 비중은 포스트 팬데믹기 하락 추세이고, 2023년에도 지난해에 비해 소폭 하락 추세를 보였다. 단, 다른 모든 비정규직과 달리, 시간제 일자리는 증가추세를 이어갔다.
▪포스트 팬데믹 기간에 명목임금은 4%를 상회하는 인상률을 보였지만, 실질임금 인상률은 근래 들어 유례없이 마이너스 성장을 했다.
▪팬데믹기 크게 증가했던 재택 및 원격 근무 비중이 크게 하락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