전체보기
[사회통합]한국인의 소수자 포용에 대한 인식
- 게시일2023-12-21
- 연도2023
- 저자하상응
- 조회2,906
첨부파일
- [사회통합]한국인의 소수자 포용에 대한 인식.pdf (4.41MB) 다운로드 미리보기
- 11-2 한국인의 소수자 포용에 대한 인식(2023).xlsx (268.06KB) 다운로드 미리보기
▪현재 민주주의 국가들이 겪고 있는 위기는 경제 불평등과 이민 유입에 따른 정체성 문제에 원인이 있다는 진단이 일반적이다. 다양성 수준이 이례적으로 낮은 한국도 사회통합을 위한 소수자 집단 포용의 현황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.
▪빈부격차가 사회 갈등의 주요 원인이라고 생각하는 응답자의 비율은 꾸준히 높은 편이다. 그런데 경제 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해 추가납세를 받아들일지의 여부에 대한 입장은 시계열적으로 명확한 패턴을 보이지 않는다.
▪이민자와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수용 의사는 2013년 이후 늘어나다가 최근 다시 감소하는 추세를 보인다. 반면 성적 소수자에 대한 인식은 조금씩 개선되고 있다.
▪성적 소수자, 북한이탈주민, 외국인에 대한 감정은 이념적으로 진보적인 사람들에게서 상대적으로 긍정적이고, 젊은 세대일수록 상대적으로 긍정적인 경향을 보인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