전체보기
[사회통합_동향]사회통합 영역의 주요 동향
- 게시일2023-12-21
- 연도2023
- 저자하상응
- 조회1,072
첨부파일
- [사회통합_동향]사회통합 영역의 주요 동향.pdf (4.53MB) 다운로드 미리보기
- 11-1 사회통합 영역의 주요 동향(2023).xlsx (299.53KB) 다운로드 미리보기
▪민주주의 국가인 한국에서 사회통합 현황을 확인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정치참여, 기부 및 봉사 활동, 민주주의 인식, 정치효능감, 기관 신뢰, 부패 인식에 초점을 맞추어 본다.
▪한국 시민들은 다양한 형태의 비선거적 정치참여를 하고 있는데 2021년 대비 2022년에 감소하는 추세를 보인다.
▪한국 시민들은 현재 민주주의 상황에 비교적 만족하고 있고, 앞으로 한국 민주주의 미래에 대해서도 낙관적인 전망을 하고 있다. 정치효능감은 정권의 이념 성향과 상관없이 진보 성향의 응답자에게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.
▪행정부, 입법부, 사법부, 언론과 같은 기관에 대한 신뢰도의 시계열적 차이를 살펴보면, 통념과 달리 적어도 2019년 이후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. 부패인식도 점차 개선되는 추세이다. 다만 기부 및 자원봉사 참여 경험이 있는 한국인의 비율은 지속적으로 줄어들고 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