관련조사: 광업제조업동향, 기계수주동향, 건설경기동향, 서비스업동향조사, 경기종합지수, 전산업생산지수, 설비투자지수
제조업 국내공급지수 개발결과 및 2016년 2분기 제조업 국내공급동향
-
담당자
김성태
-
담당부서
산업동향과
-
전화번호
042-481-2148
-
게시일
2016-09-09
-
조회
8734
- 첨부파일
-
- - 제조업 국내공급지수 개발결과 및 2016년 2분기 제조업 국내공급동향 보도자료.pdf[1.1MB]다운로드
미리보기
- - 제조업 국내공급지수 개발결과 및 2016년 2분기 제조업 국내공급동향 보도자료.hwp[871KB]다운로드
미리보기
제조업 국내공급지수 개발결과 및 2016년 2분기 제조업 국내공급동향
□ (개발배경)세계화의 진전 등에 따라 국가 간 상품교역이 더욱 활발해지면서 국내공급동향을 수입
까지 포함하여 종합적으로 분석할 필요성 증대
□ (개발과정)제조업동향통계 및 무역통계 품목 간 연계 작업(’13~’15년), 관련통계 현황 분석,
작성방법 검토, 전문가 의견수렴 및 정제(’13~’16년)
□ (기본방향)조사비용 및 응답자 부담을 수반하는 추가적 통계조사 없이 기존의 조사 및 행정자료를
활용하여 신규 통계 작성
□ (작성계열) 1개 대분류, 24개 중분류 업종 및 재별 국내공급지수(전체·국산·수입), 수입점유비
□ (기대효과) 내수동향, 국산·수입점유비 및 업종별 중장기 구조변화 관련 정보 등의 조기 제공을
통해 경기분석 및 산업정책 수립의 기초자료 제공
○(내수동향) 수입까지 포함하는 전체 국내공급 규모 추이를 단일지수로 제시함으로써 내수(소비·
투자) 및 생산활동 동향 파악에 활용 가능
○(국산·수입점유비) 시의성 있는 국산·수입점유비 제시를 통해 소재·부품 국산화 현황 등
국산·수입 연계분석에 기여
○(구조변화) 경제환경의 변화에 따른 업종별 국산·수입 구조변화 관련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관련
정책수립 및 연구분석에 기여