전체
2023년 1분기 대구·경북지역 경제동향
- 담당자조상우
- 담당부서지역통계과
- 전화번호053-609-6663
- 게시일2023-05-22
- 조회275
첨부파일
- 2023년 1분기 대구·경북지역 경제동향.pdf (1.92MB) 다운로드 미리보기
- 2023년 1분기 대구·경북지역 경제동향.hwpx (1.15MB) 다운로드
- 2023년 1분기 대구·경북지역 경제동향.hwp (1.17MB) 다운로드 미리보기
< 2023년 1분기 대구·경북지역 경제동향 >
(광공업생산)
○ 대구는 기타 기계 및 장비, 자동차 및 트레일러 등에서 늘어 4.7% 증가하였고,
○ 경북은 1차 금속, 식료품, 기타 운송장비 등에서 줄어 0.1% 감소
(서비스업생산)
○ 대구는 금융 및 보험업,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등에서 늘어 6.0% 증가하였고,
○ 경북은 운수 및 창고업, 부동산업, 금융 및 보험업 등에서 늘어 6.3% 증가
(소매판매액)
○ 대구, 경북은 전문소매점, 승용차 및 연료소매점 등에서 늘어 각각 7.2%, 9.2% 증가
(건설수주)
○ 대구, 경북은 건축과, 토목부문이 모두 줄어 각각 81.9%, 45.5% 감소
(무역수출)
○ 대구는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(의약품 제외), 기계장비 등에서 늘어 27.6% 증가하였고,
○ 경북은 전기장비, 의료‧정밀‧광학기기 및 시계 등에서 줄어 5.0% 감소
(무역수입)
○ 대구는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(의약품 제외), 전기장비 등에서 늘어 43.8% 증가하였고,
○ 경북은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(의약품 제외), 기타 기계 및 장비 등에서 늘어 5.7% 증가
(소비자물가)
○ 대구, 경북은 주택‧수도‧전기 및 연료, 식료품‧비주류음료 등에서 올라 각각 4.8%씩 상승
(취업자 수)
○ 대구는 전기‧운수‧통신·금융, 광제조업 등에서 고용이 늘어 5.0천 명 증가
○ 경북은 사업‧개인‧공공서비스 및 기타, 농업, 임업 및 어업 등에서 고용이 늘어 21.0천 명 증가
(실업자 수)
○ 대구는 전 연령층에서 늘어 7.5천 명 증가하였고,
○ 경북은 15~29세, 60세 이상 연령층에서 줄어 5.2천 명 감소
(국내 인구이동)
○ 대구 1분기 국내인구이동은 3,189명 순유출
-연령대별은 20대(-2,650명)에서, 구·군별로는 북구(-2,604명)에서 순유출이 가장 많았음
○ 경북 1분기 국내인구이동은 3,665명 순유출
-연령대별은 20대(-3,489명)에서, 시·군별로는 포항시(-1,868명)에서 순유출이 가장 많았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