전체
대구·경북 산업별 인력 현황 분석
- 담당자김민규
- 담당부서동북지방통계청 지역통계과
- 전화번호053-609-6661
- 게시일2024-07-17
- 조회2,243
첨부파일
- 대구 산업별 인력 현황 분석 기획보도.pdf (1.62MB) 다운로드 미리보기
- 대구 산업별 인력 현황 분석 기획보도.hwp (2.41MB) 다운로드 미리보기
- 경북 산업별 인력 현황 분석 기획보도.pdf (1.61MB) 다운로드 미리보기
- 경북 산업별 인력 현황 분석 기획보도.hwp (2.42MB) 다운로드 미리보기
1. 대구 산업별 인력 현황 분석
□ ’23년 대구 15세이상 인구(207만 5천 명)는 10년 전보다 2천 명 감소, 취업자(123만 6천 명)는 3만 2천 명 증가
연령별 취업자 구성비는 40~59세(48.3%), 15~39세(30.4%), 60세이상(21.4%) 순, 60세이상 비중은 10년 전보다 9.6%p 증가, 15~39세는 5.7%p 감소
□ ’23년 대구 대졸이상 취업자는 66만 4천 명으로 10년 전보다 12만 명 증가, 비중(53.7%)도 10년 전보다 8.5%p 증가
연령별 취업자 중 대졸이상 비율은 15~39세(70.3%), 40~59세(57.5%), 60세이상(21.4%) 순
□ ‘23년 대구 고용률(59.6%)은 10년 전보다 1.6%p 증가, 전국(62.7%)에 비해 3.1%p 낮음
60세이상 고용률(41.1%)은 전국보다 5.1%p, 15~39세(56.5%)는 3.9%p 낮음
고졸이하 고용률(48.4%)도 전국(53.0%)보다 4.6%p 낮음
□ ’23년 대구 취업자 비중이 큰 산업은 제조업(19.5%),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(13.0%), 도매 및 소매업(12.9%), 교육 서비스업(7.8%), 건설업(7.4%) 순
’13년 대비 취업자가 증가한 산업은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(81천 명), 운수 및 창고업(12천 명) 순,
감소한 산업은 도매 및 소매업(41천 명), 농업, 임업 및 어업(28천 명) 순
대졸이상 취업자 비중이 큰 산업은 전문,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(86.0%), 교육 서비스업(85.9%) 순,
’13년 대비 대졸이상 취업자 비중이 가장 많이 늘어난 산업은 부동산업(17.1%p)
□ ’23년 대구 취업자 비중이 큰 직업은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(20.0%), 사무 종사자(15.3%), 단순노무 종사자(15.0%)) 순,
’13년 대비 취업자가 증가한 직업은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(28천 명), 서비스 종사자(21천 명), 단순노무 종사자(20천 명) 순
□ ’20년 대구 외국인 취업자는 2만 1천 명으로 5년 전보다 6천 명 증가
취업자 중 외국인 비율은 1.9%로 ’15년보다 0.4%p 증가, 전국(4.2%)에 비해 2.3%p 낮음
전국에 비해 외국인 비중이 작은 산업은 건설업(5.5%p), 제조업(4.7%p) 순
□ ’23년 대구 산업 부족 인원은 1만 5천 명으로 10년 전보다 3천 명 증가, 산업 인력 부족률*은 2.1%로 10년 전보다 0.8%p 감소
산업별 인력 부족률은 운수 및 창고업(4.8%), 숙박 및 음식점업(3.3%), 제조업(2.7%) 순
* 산업 인력 부족률 = 부족 인원/(인력 현원+부족 인원)
□ ’43년 대구 15세이상 인구는 ’23년(210만3천 명)보다 26만 명(12.4%) 감소한 184만 3천 명으로 전망
연령별 구성비는 60세이상(50.3%), 40~59세(28.5%), 15~39세(21.2%) 순
대구 인구구조는 종 모양(’23년)에서 역피라미드(’43년)로 변화할 전망
□ ’43년 대구 취업자는 ’23년 고용률을 ’43년 인구에 적용하면 94만 5천 명으로 산정, ’23년(123만6천 명)보다 29만 1천 명(23.5%) 감소할 전망
연령별 구성비는 40~59세(43.1%), 60세이상(27.7%), 15~39세(24.7%) 순, 60세이상 비중은 ’23년보다 10.8%p 증가, 15~39세는 5.6%p 감소 전망
2. 경북 산업별 인력 현황 분석
□ ’23년 경북 15세이상 인구(231만 6천 명)는 10년 전보다 6만 명 증가, 취업자(149만 2천 명)는 7만 1천 명 증가
연령별 취업자 구성비는 40~59세(43.4%), 60세이상(33.0%), 15~39세(23.6%) 순, 60세이상 비중은 10년 전보다 11.8%p 증가, 15~39세는 7.4%p 감소
□ ’23년 경북 대졸이상 취업자는 58만 9천 명으로 10년 전보다 10만 7천 명 증가, 비중(39.5%)도 10년 전보다 5.6%p 증가
연령별 취업자 중 대졸이상 비율은 15~39세(64.6%), 40~59세(47.4%), 60세이상(11.1%) 순
□ ’23년 경북 고용률(64.4%)은 10년 전보다 1.5%p 증가, 전국(62.7%)에 비해 1.7%p 높음
60세이상 고용률(57.4%)은 전국보다 11.2%p 높지만, 15~39세(54.1%)는 6.3%p 낮음
고졸이하 고용률(58.2%)도 전국(53.0%)보다 5.2%p 높음
□ ’23년 경북 취업자 비중이 큰 산업은 농업, 임업 및 어업(19.8%), 제조업 (17.6%),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(10.2%), 도매 및 소매업(8.4%) 순
’13년 대비 취업자가 증가한 산업은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(77천 명), 운수 및 창고업(14천 명) 순, 감소한 산업은 도매 및 소매업(27천 명), 제조업(23천 명) 순
대졸이상 취업자 비중이 큰 산업은 전문,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(83.1%), 교육 서비스업(81.7%) 순,
’13년 대비 대졸이상 취업자 비중이 가장 많이 늘어난 산업은 수도, 하수 및 폐기물 처리, 원료재생업(20.1%p)
□ ’23년 경북 취업자 비중이 큰 직업은 농림·어업 숙련 종사자(19.7%), 단순노무 종사자(14.2%), 장치·기계 조작 및 조립 종사자(13.5%)) 순,
’13년 대비 취업자가 증가한 직업은 서비스 종사자(33천 명),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(24천 명), 농림·어업 숙련 종사자(23천 명) 순
□ ’20년 경북 외국인 취업자는 5만 2천 명으로 5년 전보다 1만 5천 명 증가
취업자 중 외국인 비율은 4.0%로 ’15년보다 1.2%p 증가하였으나 전국(4.2%)에 비해 0.2%p 낮음
전국에 비해 외국인 비중이 작은 산업은 건설업(4.4%p), 숙박 및 음식점업(2.3%p) 순
□ ’23년 경북 산업 부족 인원은 2만 4천 명으로 10년 전보다 1만 명 증가, 산업 인력 부족률*은 2.9%로 10년 전보다 0.4%p 증가
산업별 인력 부족률은 숙박 및 음식점업(4.5%), 광업(4.0%), 제조업(3.9%) 순
* 산업 인력 부족률 = 부족 인원/(인력 현원+부족 인원)
□ ’43년 경북 15세이상 인구는 ’23년(234만5천 명)보다 14만 5천 명(6.2%) 감소한 220만 명으로 전망
연령별 구성비는 60세이상(56.9%), 40~59세(25.7%), 15~39세(17.4%) 순
경북 인구구조는 종 모양(’23년)에서 역피라미드(’43년)로 변화할 전망
□ ’43년 경북 취업자는 ’23년 고용률을 ’43년 인구에 적용하면 132만 3천 명으로 산정, ’23년(149만2천 명)보다 17만 명(11.4%) 감소할 전망
연령별 구성비는 60세이상(49.1%), 40~59세(34.3%), 15~39세(16.6%) 순, 60세이상 비중은 ’23년보다 16.1%p 증가하고, 15~39세는 7.1%p 감소할 전망
- 이전글
- 다음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