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기획보도] 2022 통계로 보는 수도권 고령자
- 담당자이윤정
- 전화번호02-2110-7761
- 게시일2022-09-30
- 조회1186
- 첨부파일
-
- [기획보도] 2022 통계로 보는 수도권 고령자.pdf[2.6MB]다운로드
미리보기
- [기획보도] 2022 통계로 보는 수도권 고령자.hwpx[2.6MB]다운로드
□ ′22년 수도권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전체 인구의 15.4%인 402만 3천 명임
○ 수도권 고령인구 비중은 계속 증가하여 ‘21년 14.6%로 고령사회, ‘27년 20.3%로 초고령사회에 진입하고,
’50년에는 36.9%에 이를 것으로 전망됨
□ ’21년 수도권에서 가구주 연령이 65세 이상인 고령자 가구는 213만 가구로 전체 가구의 20.2%이며,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임
○ 가구 유형별로는, 부부(34.4%)와 1인 가구(32.9%) 비중이 가장 높음
□ ‘20년 수도권 65세 생존자 기대여명은 서울 22.5년, 경기 21.7년, 인천 21.1년
○ 서울과 경기는 전국(21.5년)보다 1.0년과 0.2년 높고, 인천은 0.4년 낮음
□ ‘20년 수도권 60세 이상 고령자 1인당 본인 부담 의료비는 84만 8천원으로 비수도권보다 9만 6천원 적음
□ ‘21년 수도권 65세 이상 고령자의 고용률과 실업률은 각각 28.7%, 4.7%로, 비수도권에 비해 고용률은 11.1%p 낮고,
실업률은 1.4%p 높음
□ ‘20년 수도권 66세 이상 고령자 처분가능소득으로 본 상대적 빈곤율은 36.4%, 소득 5분위 배율은 7.50배로,
소득 5분위 배율은 비수도권(5.85배)보다 높음
□ ‘21년 수도권 65세 이상 사회단체 참여율은 30.2%로 비수도권(27.6%)보다 높음
○ 유형별로는 친목(53.8%), 종교(46.6%), 취미·스포츠·여가(39.5%) 참여율이 높음
□ ‘20년 수도권 60세 이상 고령자의 주 여가활동은 휴식(69.3%), 취미·오락(13.4%), 스포츠(10.0%) 순임
□ ‘21년 수도권 65세 이상 고령자의 67.5%는 집안일 등의 문제가 있을 때 도움받을 사람이 있는 것으로 나타남
○ 수도권(67.5%)이 비수도권(72.2%)보다 4.7%p 낮게 나타남
□ ‘20년 수도권 65세 이상 내국인의 혼인상태는 배우자있음(64.4%), 사별(27.5%), 이혼(6.3%), 미혼(1.8%) 순으로 나타남
□ ‘20년 수도권 65세 이상 고령자의 10만명당 보행교통사고 사망률은 5.3명, 부상률은 107.0명으로 비수도권의 0.6배, 0.9배 수준임
□ ‘20년 수도권 65세 이상 고령자 10만명당 학대피해를 경험한 사람은 63.8명으로 전년 대비 10.8명 증가하였으나,
비수도권의 84.8명보다 낮음
□ ‘21년 수도권 65세 이상 고령자의 24.4%는 전반적인 삶에 대해 만족함
○ 비수도권에서 삶에 대해 만족하는 고령자의 비중(25.5%)에 비해 1.1%p 낮음
○ 시도별로는, 경기(25.3%), 서울(24.5%), 인천(19.6%) 순으로 나타남
※ 자세한 내용은 첨부된 파일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