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복영역 건너뛰기

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

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.

사이트맵 바로가기

통계청이 생산한 통계자료와 주요활동을 국민들에게 널리 알리기 위하여 언론에 제공하는 자료입니다.

2024 한국의 사회지표

  • 담당자권근아
  • 담당부서사회통계기획과
  • 전화번호042-481-2242
  • 게시일 2025-03-25
  • 조회8414
2024 한국의 사회지표 주요 결과 1. 인구, 가구·가족 ㅇ (인구 변화) '24년 총인구는 5,175만 명, ’72년 총인구는 3,622만 명으로 전망되며, 65세 이상 인구의 비중은 ’24년 19.2%에서 ’72년 47.7%가 될 것으로 전망 ㅇ (가구 변화) '23년 전체 가구 수는 2,273만 가구로 전년보다 35만 가구 증가했고, 가구주 연령이 65세 이상인 가구는 566만 가구로 전년보다 32만 가구 증가함 ㅇ (외국인 추이) ’23년 장기체류외국인 수는 188.2만 명으로 전년보다 19.3만 명 증가함 ㅇ (출생 현황) ’24년 합계출산율은 0.75명p, 출생아 수는 23만 8천 3백 명p으로 '15년 이후 처음으로 전년대비 증가함 2. 건강, 생활환경 ㅇ (기대수명) ’23년 기대수명은 83.5년으로 전년(82.7년)보다 0.8년 증가하였으며, 우리나라의 기대수명은 OECD 회원국 중 5위임 ㅇ (조사망률) ’24년 인구 천 명당 사망자 수는 7.0명p으로 전년(6.9명)보다 0.1명 증가했고, ’23년 사망원인 1위는 악성신생물(암)로 인구 10만 명당 166.7명이 사망함 ㅇ (미세먼지) '23년 우리나라 대기 중 미세먼지(PM-10) 연평균 농도는 37㎍/m3, 초미세먼지(PM-2.5) 연평균 농도는 19㎍/m3으로 모두 전년보다 증가함 3. 교육·훈련, 노동 ㅇ (교육기회) '24년 취학률은 초등학교, 고등학교는 전년보다 증가, 중학교는 전년보다 감소하였으며, ’24년 사교육 참여율은 80.0%로 전년보다 증가함 ㅇ (학교생활) ’24년 교원 1인당 학생 수는 초등학교가 12.7명으로 가장 많고, 다음은 중학교(11.6명), 고등학교(10.1명), 유치원(9.0명)순임 ㅇ (고용과 실업) ’24년 15세이상 고용률은 전년(62.6%)보다 0.1%p 상승한 62.7%로 통계작성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며 실업률은 2.8%로 전년(2.7%)보다 0.1%p 상승함 4. 소득·소비·자산, 여가 ㅇ (국민계정) ’24년 명목 국내총생산(GDP)은 2,549.1조 원p, 실질 경제성장률은 2.0%p이며, 1인당 국민총소득(GNI)은 36,624달러p로 모두 전년보다 증가함 ㅇ (가구소득 및 소득분배) ’23년 가구의 연 평균소득은 7,185만 원으로 전년보다 423만 원 증가하였고, 지니계수는 0.323로 전년보다 0.001 만큼 감소하였음 ㅇ (소비생활) ’24년 1인당 민간소비지출은 2,387.0만 원p으로 ’20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, 가구 월평균 소비지출액도 289.0만 원으로 전년보다 증가함 ㅇ (여가시간) ’24년 15세 이상 국민의 평균 여가시간은 평일 3.7시간, 휴일 5.7시간으로 전년보다 증가하였고, 여가시간을 주로 혼자서 보내는 사람이 54.9%로 가장 많았음 5. 주거, 범죄·안전 ㅇ (주택보급) ’23년 기준 인구 천 명당 주택 수는 437.0호로 전년(430.2호)보다 6.8호 증가하였으며, 주택보급률도 102.5%로 전년(102.1%)보다 0.4%p 증가하였음 ㅇ (주거지출) ’23년 연 소득 대비 주택가격 배율은 6.3배로 전년과 동일하며, 월 소득 대비 주택임대료 비율은 15.8%로 전년(16.0%)보다 0.2%p 감소함 ㅇ (범죄현황) ’23년 10만 명당 범죄 건수는 3,121건으로 전년보다 73건 증가했고, ’22년 사람들은 사기(13.9%), 폭행(13.5%) 순으로 두려움을 많이 느낌 6. 사회통합, 주관적 웰빙 ㅇ (사회갈등 인식) ’24년 사람들이 크게 느낀 사회갈등은 ‘보수와 진보’(77.5%), ‘빈곤층과 중상층’(74.8%), ‘근로자와 고용주’(66.4%) 순임 ㅇ (사회적 고립감) '24년 19세 이상 국민 중 ‘외롭다’라고 느끼는 비중은 21.1%, ‘아무도 나를 잘 알지 못한다’고 느끼는 비중은 16.2%로 모두 전년보다 증가 ㅇ (주관적 웰빙) ’24년 자신의 삶에 만족하는 사람의 비중(75.6%)과 자신이 하는 일이 가치 있다고 생각하는 비중(76.3%)은 각각 전년보다 1.5%p, 7.9%p 증가함 ※ 기타 자세한 사항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
콘텐츠 만족도 조사

현재페이지의 내용이나 사용 편의성에 만족하십니까?

만족도 선택

*0/200자 내외

평균 0.0 9378명 참여

너비 1640px 이상
너비 1639px - 1180px
너비 768px - 1179px
너비 767px 이하