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복영역 건너뛰기

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

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.

사이트맵 바로가기

인구동향조사

2018년 출생.사망통계 잠정 결과

  • 담당자김영수
  • 담당부서인구동향과
  • 전화번호042-481-2258
  • 게시일 2019-02-27
  • 조회51944
== 2018년 출생.사망통계 잠정 결과 == □ 출생 ○ 출생아 수는 32만6천9백명으로 전년대비 3만9백명(-8.6%) 감소 ○ 합계출산율은 0.98명으로 전년(1.05명)보다 0.08명(-7.1%) 감소 ○ 조(粗)출생률(인구 1천 명당 출생아 수)은 6.4명으로 전년보다 0.6명(-8.8%) 감소 ○ 모(母)의 연령별 출산율은 30대 초반이 91.4명으로 가장 높고, 30대 후반이 46.1명, 20대 후반이 41.0명 순 ○ 모(母)의 평균 출산연령은 첫째아는 31.9세, 둘째아는 33.6세, 셋째아는 35.1세 ○ 전년대비 첫째아(5.9%) 둘째아(-10.5%), 셋째아 이상(-19.2%) 감소 ○ 시도별 합계출산율은 세종(1.57명)?전남(1.24명)?제주(1.22명) 순 □ 사망 ○ 사망자 수는 29만 8천 9백 명, 전년대비 4.7%(1만 3천 4백 명) 증가 ○ 사망자 수는 사망원인통계 작성(1983년) 이래 최대치 ○ 조(粗)사망률(인구 1천 명당 사망자 수)은 5.8명, 전년보다 0.3명(4.6%) 증가 ○ 연령별 사망자 수는 전년대비 80대(7.4%)와 90세 이상(10.4%)에서 주로 증가 ○ 표준화한 사망률(표준인구 1천 명당 사망자 수)은 전국 3.2명으로 울산(3.6명)이 높고, 서울(2.8명), 경기(3.1명), 대전(3.2명), 세종(3.2명)이 낮음. □ 자연증가 ○ 인구 자연증가는 2만 8천 명으로 전년대비 4만 4천 명(-61.3%) 감소 ○ 출생에서 사망을 제한 인구 자연증가는 통계 작성(1970년) 이래 가장 낮음 ○ 자연증가, 경기(2만 8천 명), 서울(1만 3천 명) 등 9개 시도 자연감소, 경북(-6천 명), 전남(-6천 명)등 8개 시도 ※ 자세한 사항은 첨부 파일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.
콘텐츠 만족도 조사

현재페이지의 내용이나 사용 편의성에 만족하십니까?

만족도 선택

*0/200자 내외

평균 0.0 1094명 참여

너비 1640px 이상
너비 1639px - 1180px
너비 768px - 1179px
너비 767px 이하