장래인구및가구추계
장래가구추계: 2020~2050년
- 담당자최지형
- 담당부서인구동향과
- 전화번호042-481-2284
- 게시일 2022-06-28
- 조회17205
첨부파일
- ★장래가구추계 전국편(2020-2050) 보도자료.pdf (1.63MB) 다운로드 미리보기
- 장래가구추계 전국편(2020-2050) 보도자료.hwp (2.09MB) 다운로드 미리보기
- 장래가구추계 전국편(2020-2050) 보도자료.hwpx (1.96MB) 다운로드
□ 장래가구추계: 2020~2050년 작성결과
ㅇ총가구는 2020년 2,073만 가구이며, 2039년 2,387만 가구를 정점으로 감소
- (총가구) 2020년 총가구는 2,073만 1천 가구에서 2039년 2,387만 가구까지 증가한 후 감소, 2050년에는 2,284만 9천 가구에 이를 전망
- (가구증가율) 2020년 총가구는 전년에 비해 2.52% 증가하나, 가구증가율은 점차 감소하여 2040년부터는 마이너스로 전환,
2050년에는 -0.75% 수준으로 예상
- (평균 가구원수) 2020년 평균 가구원수는 2.37명에서 점차 감소하여 2050년 1.91명까지 감소할 전망
ㅇ2050년까지 1인가구 및 부부가구는 증가, 부부+자녀가구는 감소
- (가구유형) 2020년 가구유형은 1인가구(31.2%), 부부+자녀가구(29.3%), 부부가구(16.8%) 등의 순으로 많았으나,
2050년에는 1인가구(39.6%), 부부가구(23.3%), 부부+자녀가구(17.1%) 순으로 변화할 전망
- (가구원수) 2020년 가구원수별 가구 비중은 1인가구(31.2%), 2인가구(28.0%), 3인가구(20.3%), 4인가구(15.8%) 순이었으나,
2050년에는 1인가구(39.6%), 2인가구(36.2%)는 증가하는 반면, 4인가구(6.2%)는 감소할 전망
ㅇ1인가구는 2020년 648만 가구에서 2050년 905만 가구로 증가
- (가구 비중) 2020년 전체 가구 중 1인가구 비중은 31.2%(647만 7천 가구)에서 2050년 39.6%(905만 4천 가구)로 8.4%p(257만 7천 가구)
증가할 전망
- (가구주 연령) 2020년 1인가구 중 30대이하의 비중이 36.7%(237만 6천 가구)로 가장 높으나, 2050년에는 70대이상이 42.9%
(388만 가구)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할 전망
ㅇ2050년까지 고령 가구주 2.5배, 여자 가구주 1.4배 증가
- (고령자 가구) 가구주가 65세 이상인 고령자 가구는 2020년 464만 가구(22.4%)에서 2050년 1,137만 5천 가구(49.8%)로 2.5배
증가할 전망
- (여자 가구주) 2020년 여자 가구주는 672만 1천 가구(32.4%)이었으나, 2050년에는 937만 7천 가구(41.0%)로 2020년의 1.4배 증가
- (가구주 연령) 2020년 40~50대 가구주가 전체의 43.7%로 가장 많았으나, 2050년에 70대이상이 40.2%로 가장 많아질 전망
*자세한 사항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